상단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

Acaroot

자료실

[논문번역] 아카루트 <논문번역지원사업>에 선정된 해외논문 번역문들을 소개합니다.

[웹툰] 대학원생의 희노애락을 담은 <듀선생의 인생제반연구소>가 연재됩니다.

[밑줄배송] 연구자들에게 힘이 되는 작품이나 흥미로운 책, 논문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.

밑줄배송 [논문] #전염병 김지영, [19세기 전염병 이미지의 변화와 브람 스토커의 드라큘라]

페이지 정보

작성자
아카루트
조회
2,805회
작성일
20-08-05 17:31

본문

 

 

 

865ccf87542274aeee3700153e2859a9_1596616293_4749.jpg
865ccf87542274aeee3700153e2859a9_1596616293_6079.jpg
 

아카루트 [밑줄배송] 시작합니다.
코로나 확산으로 일상적으로 누리는 것들이 일상이 아닌 시대가 되어버렸습니다.
이러한 낯선 전염병의 등장은 타자와 나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.
오늘 밑줄 배송은 전염병을 다룬 김지영 선생님의 논문 [19세기 전염병 이미지의 변화와 브람 스토커의 ‘드라큘라’]입니다.
“막연한 나쁜 냄새와 공기, 인간의 영혼을 좀먹는 바쁜 영향에서 병이 전염된다는 미아즈마설은 세균이라는 구체적인 병원이 발견됨으로써 그 위세가 감소되었지만, 역으로 세균에 부정적이고 사악한 속성을 부과함으로써 세균의 타자화에 기여하였다. 드라큘라 백작은 그러한 병원균의 타자화에 반응하는 대중의 상상력이 구성해낸 타자화된 이질성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.”
-김지영, [19세기 전염병 이미지의 변화와 브람 스토커의 드라큘라], 현대영미어문학 제34권 3호, 2016, p.44
이 논문은 19세기 전염병에 관한 담론 전염론, 미아즈마 이론, 세균학을 소개하면서 브람 스토커의 소설 [드라큘라]에 나타난 전염병 이미지를 분석하고 있습니다.
‘드라큘라’를 선악에 대한 공포물이 아닌 전염병의 비유로 읽어내고 있어 코로나 시대를 보내고 있는 우리들에게도 많은 생각거리를 안겨주는 논문일 것 같습니다.
이 논문은 http://www.dbpia.co.kr/journal/articleDetail?nodeId=NODE07002959 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.
*[밑줄배송]은 연구자들에게 힘이되는 작품, 연구자가 주인공인 작품, 연구자를 다룬 비문학 장르, 그리고 흥미로운 논문들을 소개하는 코너 입니다.
너무 무겁지 않게, 논문쓰다, 과제하다 잠시 인스타를 켰을 때 눈길이 머물 수 있는 읽을거리를 제공하고자 합니다.